Korea & Brake

37. Hwang Hui(Kwanghan-nu, Namwon)_황희(광한루, 남원) 본문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37. Hwang Hui(Kwanghan-nu, Namwon)_황희(광한루, 남원)

GBbrake 2018. 10. 21. 10:59

Namwon is a city located in Jeollabuk-do, about 3 hours drive from Seoul. It is not so big and it is not a city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 at present, but it is Chunhyangjeon that made many people know Namwon. Chunhyangjeon is a Korean ancient novel and it is not known exactly the time of creation and author, but it is presumed that it was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Yeong, Jeongjo). Namwon is the place which was the stage of Chunhyangjeon, and the place where Sung Chunhyang and Lee Mong Ryong meet each other is Kwanghan-nu.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know that the person who made the Kwanghan-nu is Hwang Hui, the most famous prime minister in Korean history. He supported King Sejong 's peaceful reign, who was the be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he was in the top position as Young Eui - jeong for a long period of 18 years. So it is more natural to call it 'Hwang Hui Jung Seung(Prime minister)' rather than just Hwang Hui.

 For more information on Hwang Hui, please refer to reference room in my blog (http://gbbrake.tistory.com/20)


 Hwang Hui, who served as the Minister of Interior, opposed appointing Chungnyeong Daejun (later King Sejong) as Crown Prince, and was exiled to Namwon as an anger of Taejong.

The pavilion built by Hwang Hui at this time is the Kwanghan-nu. He had no idea that Kwanghan-nu would be so famous at that time. Kwanghan-nu has such a spectacular view that young men and women, although it is a novel story,  would feel excited if they meet here. I think that Chunhyangjeon was born by someone's imagination while watching this place, and many people added contents to the story, and the present Chunhyangjeon was completed.


남원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도시로서 서울에서 차로 약 3시간 거리에 있다. 그리 큰 규모도 아니고 현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도시도 아니지만 남원을 많은 한국인들이 알 수 있게 해준 것이 있으니 바로 춘향전이다. 춘향전은 한국 고소설로서 정확한 창작시기와 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조선 후기(영,정조)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춘향전의 무대가 된 곳이 바로 남원이며 성춘향과 이몽룡이 만난 장소가 바로 광한루이다. 

 광한루를 만든 사람이 한국역사상 가장유명한 재상인 황희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최고 성군으로 이름 높은 세종대왕의 태평성대를 뒷받침하였고 18년이라는 긴 기간동안 최고 자리인 영의정에 있었던 인물이다. 따라서 황희라는 이름만으로 불리기 보다는 '황희정승'이라고 정승이란 호칭을 붙여 부르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정도이다. 

 황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도록 하자.(http://gbbrake.tistory.com/20)


황희는 이조판서로 재직 중 태종이 세자로 충녕대군(훗날의 세종)을 책봉하는 것을 반대하다 태종의 노여움을 사 남원으로 유배되게 된다.

이 때 황희가 건립한 누각이 바로 광한루이다. 당시에 황희는 광한루가 이렇게 유명해 질 줄을 몰랐을 것이다. 비록 소설이지만 젊은 남녀가 이곳에서 만난다면 설레임을 느낄 정도로 훌륭한 경치를 자랑한다. 이곳을 보면서 누군가의 상상력에 의해 춘향전이 탄생했을 것이고 여러사람들이 이야기에 살을 덧붙이면서 지금의 춘향전이 완성되었을 것이란 상상을 해본다.




Kwanghan-nu i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Namwon City, overlooking the river called Yocheon. It takes about 3 hours and 30 minutes from Seoul by car.


광한루는 남원시의 외곽에 요천이라는 강을 바라보고 자리잡고 있다. 서울에서 승용차로 약 3시간 30분 걸린다.  


Address : 1447, Yocheon-ro Namwon-si Jeollabuk-do38, Republic of Korea



There is a parking lot next to the Kwanghan-nu and the parking fee is 2,000 won.


광한루 옆에 주차장이 있으며 주차비는 2,000원이다.



If you walk along the fence from parking area..


주차장에서 아래와 같은 담장을 걸어가면 



This is the entrance. Admission is 2,500 won for adults, 1,500 won for teenagers (13-18 years old) and 1,000 won for children (7-12 years old).


이렇게 입구가 나온다. 입장료는 어른 2,500원, 청소년(13~18세) 1,500원, 어린이(7~12세) 1,000원이다. 



 The time I visited was winter, and the following scenery is unfolded in this garden. Spring, summer and autumn may be nice, but snowy scenery of winter seems to be beautiful as well.


 필자가 방문했던 시기는 겨울이라 안에 들어서면 아래와 같은 풍경이 펼쳐진다. 봄, 여름, 가을도 멋있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겨울의 눈 덮인 경치도 아름다운 것 같다.



 If you go inside along the way on snow, Kwanghan-nu can be seen far away.     


 길을 따라 눈을 사박사박 밟으며 안으로 들어가면 저 멀리 광한루가 보인다.




 The appearance of the Kwanghan-nu . The appearance of clear reflection in the water boasts a mysterious figure.


 광한루의 모습. 물에 맑게 비친 모습이 신비로운 자태를 자랑한다.



 There is a small bamboo forest next to the Kwanghan-nu, and it maintains its blue color in winter. It seems that the green of bamboo stands out in winter than summer.


광한루 옆에 자그마한 대나무 숲이 있는데 겨울에도 푸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여름보다 겨울에 대나무의 푸르름이 돋보이는 것 같다.



 Kwanghan-nu is designated as Treasure No. 281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present form was rebuilt in the 16th year of Injo(1638) after burning down by Jeongyuj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Some parts of the building were added during King Jeongjo of Joseon Dynasty(1776~1800)


광한루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 28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의 모습은 정유재란에 불에 탄 것을 인조 16년(1638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정조 때 건물 일부가 추가되었다고 한다. 







 Kwanghan-nu shows a wonderful appearance matching 'Honam Cheilu(The best pavilion of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below.


 아래의 '호남제일루'라는 현판이 무색하지 않은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 광한루.



 Looking closely at the Kwanghan-nu, it is interesting that the following animals are carved into a part of the building pillars and express an elephant that cannot be seen in Korea. It means that strong animals like elephants should carry the pavilion well.


 광한루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아래와 같은 동물들이 건물 기둥의 일부분으로 조각되어 있는데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코끼리를 표현해 놓은 것이 재미있다. 코끼리와 같은 힘센 동물이 누각을 잘 짊어지라는 의미라고 한다.



 So what does this rabbit and turtle mean? I leave it to your imagination.


 그럼 이 토끼와 거북이의 의미는 무엇일까? 여러분들의 상상에 맡긴다.



 Here we can also see an elephant.


 여기도 코끼리가 보인다.





 This staircase was made during the Gojong era (late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added to prevent the slope of the Kwanghan-nu.


 이 계단은 조선의 고종때(19세기 후반) 만들어진 것으로 광한루가 점점 기우는 것을 지탱하기 위해 더해졌다고 한다.



 There is a Ojakgyo in Ganhwasu like below. Ojagyo is a bridge in the Korean legend that crows and magpies gathered in the Milky Way and built bridge using their body so that the Weaver Girl and the Cowherd could meet each other once a year on July 7th in the lunar calendar.


 The lake which is made using Yochon, a river in front of Kwanghan-nu, is symbol of a galaxy, and the bridge on it is called Ojakgyo. I admire the imagination of old people.


광한루원 안에는 아래와 같은 오작교가 있다. 오작교는 음력 7월 7일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만날 수 있도록 까마귀와 까치들이 은하수에 모여 몸을 이어 다리를 만들었다는 한국의 전설에 나오는 다리이다.

광한루 앞의 하천인 요천을 끌어 들어 만든 호수는 은하수를 나타내고 그위에 만든 다리는 오작교라고 하니 옛 사람들의 상상력에 감탄할 따름이다.



 There is a legend that if you cross Ojakgyo, love is accomplished and blessed. If you visit here, it would be nice to make a wish and slowly cross the bridge. I crossed the bridge, of course.


 오작교를 건너면 사랑이 이루어지고 복을 받는다는 전설이 있다. 방문시 소원을 빌며 천천히 건너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필자도 물론 다리를 건넜다.




 When I step on the snow piled up in Kwanghan-nu, the sound of it awakens the stillness in the garden. I imagine what Hwang Hee Jung Seung had spent years and what he thought here.


 눈 덮인 광한루에 쌓여 있는 눈을 밟을 때 나는 소리가 정원 내의 고요함을 깨운다. 황희 정승은 이곳에서 무슨 생각을 하며 세월을 보냈을까 상상해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