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 Brake
81. Jeongjo(Yungneung and Geolleung, Hwasung)_ 정조(화성 융건릉) 본문
81. Jeongjo(Yungneung and Geolleung, Hwasung)_ 정조(화성 융건릉)
GBbrake 2018. 10. 1. 11:45There are 40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in 18 areas nationwide. The royal tomb, built between 1408 and 1966 during about 5 centuries, was given historic value in the way of creation and funeral traditions, so UNESCO designated the whole of the royal tomb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The nine kings of Joseon dynasty are in 100 great men so I will visit that places and they will be introduced in other articles.
Yungneung and Geolleung, which will be introduced today, is located at Suwon Hwaseong Fortress as the tombs of the 22nd King Jeongjo and prince Sado who is his father. Jeongjo was extremely devoted to his parents. He moved his father’s tomb(Called Su Eun Myo at that time) from Dongdaemun-gu in Seoul to here which was planned for Jeongjo and named it as Hyeollyungwon and himself to be buried next to Prince Sado. Originally, the name of the Neung is a name that can be attached only to the graves of the king and the queen but Hyeollyungwon has been upgraded to Yungneung when Gojong elevated Prince Sado to JangJo. In short, Yungneung is for Prince Sado who is father and Geolleung for Jeongjo who is son. YungGeolleung is the word to call these 2 tombs together.
Please refer to reference room in my blog for information about Jeongjo. (http://gbbrake.tistory.com/32)
조선의 왕릉은 전국 18개 지역에 총 40여기가 존재한다. 1408년 에서 1966년까지 약 5세기에 걸쳐 조성된 왕릉은 조성방법과 장례전통등에 역사적 가치가 부여되어 유네스코에서 왕릉 전체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100명의 위인들에 등장하는 조선의 임금은 총 9분이므로 9분의 릉은 방문을 할 것이니 나머지 왕릉은 다른 글에서 소개하기로 한다.
오늘 소개할 융건릉은 제 22대왕인 정조와 그 아버지 사도세자를 모신 릉으로 수원 화성에 있다. 효성이 지극했던 정조는 현재 서울 동대문구에 있던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당시 수은묘라 불림)를 본인이 묻힐 자리에 이장을 하여 현륭원이라 이름 붙이고 자신은 그 옆에 안장되게 된다. 원래 릉이라는 이름은 왕과 왕비의 묘에 대해서만 붙일 수 있는 이름인데 고종이 자신의 고조부인 사도세자를 장조로 추숭하면서 현륭원도 융릉으로 격상되게 된다. 즉 융릉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것이고 건릉은 아들 정조의 산소라 이 둘을 합쳐 융건릉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정조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도록 하자.(http://gbbrake.tistory.com/32)
It is located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and takes about one hour by car from Seoul. I parked at a restaurant near entrance of the YungGeolleung. Free parking is available at two locations which is operated by YungGeolleung office.
융건릉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으며 서울에서 승용차로 약 1시간 걸린다.
필자는 융건릉 입구의 한 음식점에 주차를 한 뒤 식사를 그 곳에서 하고 관람했다. 융건릉에서 운영하는 무료주차장이 2군데 있어 이용 가능하다.
Address : 21 Hyohaeng-ro 481beon-gil, Annyeong-dong, Hwaseong-si, Gyeonggi-do, South Korea
Many people visit here because it is a famous place in the suburbs of Seoul.
서울 근교에 위치한 명소라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It is almost flat, and the trees are also around the tombs, so they have been well maintained for a long time and we can feel like to be in the arboretum. If you have baby, it is a good place to use stroller so please refer to this when you have a plan for outing. The admission fee is 1,000 won.
거의 평지로 이루어져 있고 나무들도 왕릉 주변이라 오랫동안 관리가 잘 되어 있어 수목원에 온 기분이다. 아기를 데리고 온 가족이라면 유모차 끌고 다니기에 적합한 장소이니 나들이 할 때 참고하시면 되겠다. 입장료는 1000원이다.
When we go inside, the dense forest welcomes. The dark forest road seems to be in national park .
안쪽으로 들어가니 울창한 삼림이 반긴다. 짙은 색 숲길이 꼭 국립공원에 와 있는 것 같다.
As I walked along the trail, I reached the entrance to the Geolleung, the tomb of Jeongjo. There is a a red gate with spiked top over there.
오솔길을 따라 걷다보니 어느덧 정조의 능인 건릉의 입구에 이르렀다. 저기 홍살문이 보인다.
You can see a building which is called Jeong Ja Gak for memorial ceremony to the king in front of the Red Gate.
홍살문 앞쪽으로 임금께 제사를 지내는 건물인 정자각이 보인다.
The staircase to climb to the Jeong Ja Gak. It is manners to descend to the left and climbing to the right.
정자각에 오르는 계단. 오를때는 오른쪽으로 내려올때는 왼쪽으로 내려오는 것이 예절이다.
Because the weather is good, the landscape around the tomb is like a picture.
날씨가 좋아 능 주변 경관이 한 폭의 그림같다.
You cannot see the figure of tomb when you go just below Neung. It is said to have made tall hill because it was built to provide a good view from the view of the king and queen in Grave. The average height of the Joseon royal tomb is 53m.
능 바로 아래에 가면 능의 모습을 볼 수가 없다. 능은 왕과 왕비의 시각에서 좋은 경치를 선사하기 위해 조성되었기 때문에 언덕을 높게 만들었다고 한다. 조선왕릉의 평균 높이가 53m라고 한다.
It is a monument house of Jeongjo. On the side of what we see, left side is for Jeongjo and right side is for the Queen who is called queen Hyo Ui.
정조의 비각. '대한 정조선황제 건릉, 효의선황후 부좌' 라고 씌여있다. 정조와 왕비의 능이며 우리가 보는 쪽에서 왼쪽이 정조 오른쪽이 효의 왕후의 능이라고 보면 된다.
It is located at a high place, but we have to look up from below. Some graves can be seen nearby on a given day, but I hope that all tombs are allowed to see them in close.
능은 높은 곳에 위치하는 데 우리는 아래에서 볼 수 밖에 없다. 일부 능은 정해진 날에 가까이서 볼 수 있다고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까이서 볼 수 있게 해 주었으면 한다.
The appearance of Jeong Ja Gak. The Jeong Ja Gak of all the royal tombs have a similar shape.
정자각의 모습. 모든 왕릉의 정자각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After seeing Jeongjo's Geolleung, I headed to the Yungneung of prince Sado. It was expected because this tomb was made with love to father of Jeongjo. To briefly explain, Prince Sado who is the father of Jeongjo was killed by the order of the grandfather Yeongjo. Jeongjo, who watched the situation from the side, grew up with a longing for his father. After the succession to Yeongjo, he made his father's grave bigger and grander than his tomb in the land of Hwasung, and chose a comfortable and cozy land for his unjustly dead father. It is also said that he planted acorn trees around the grave so that the people could eat the fruit to practice the heart that his father loved the people.
정조의 건릉을 관람한 뒤 사도세자의 융릉으로 향했다. 정조의 효심으로 만들어진 릉이라 기대가 되었다. 간단히 설명하면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는 할아버지 영조의 명으로 억울하게 뒤주에서 죽임을 당한다. 이러한 상황을 옆에서 지켜본 정조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을 마음속에 담아두고 성장하게 되고 영조의 뒤를 이어 즉위한 뒤 이곳 화성땅에 자신의 능보다 아버지의 능을 더 크고 웅장하게 조성했고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를 위해 다른 왕릉과는 달리 편안하고 아늑한 땅을 골랐다. 또한 아버지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백성들이 먹을 수 있도록 주변에 도토리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cozy forest road, I finally arrived at the Yungneung.
아늑한 숲길을 지나 드디어 융릉에 도착했다.
As you can see, Yungneung is a good place to have a bigger size and a brighter place than Geolleung. Although it cannot be seen in the photographs, Yungneung have screen stone around the tomb, which is not in Jeongjo's one, and it is more splendid.
직접 보시면 아시겠지만 융릉의 규모가 더 크고 위치도 더 밝은 것이 좋은 자리임을 알 수 있었다. 사진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융릉에는 정조의 능에는 없는 병풍석이 있으며 더 화려하다고 한다.
Almost every royal tomb prohibits visitors from going up and watching. It is regrettable that we cannot see the fine skill of stone craft and tomb construction of the Joseon Dynasty. It is because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but if we manage it more thoroughly, it will not be damaged. Considering that the citizenship of Korea has grown a lot, I think it is too much action.
When foreign tourists visit Korea, it is recommended to visit one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which is a world cultural heritage. If it is YungGeolleung, please consider love to father from Jeongjo in that place.
거의 모든 왕릉은 가까이 올라가서 관람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화려한 석공예 기술 및 분묘 조성솜씨를 볼 수 없어서 아쉽다. 문화재 보호라는 이유 때문이라지만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면 문화재 훼손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우리나라의 시민의식이 많이 성장했음을 고려했을 때 기우라는 생각이 든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 방문할 때 세계문화 유산인 조선의 왕릉 중 한 곳은 반드시 들려볼 것을 추천하며 융건릉에서는 정조의 효심을 한 번더 생각해 주셨으면 좋겠다.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Choi Yeong(Tomb of General Choi)_최영장군 묘(고양) (0) | 2018.10.19 |
---|---|
55. King Sejo(Gwangneung)_ 세조(광릉) (0) | 2018.10.01 |
33. Mun Ikjeom(Nam pyeong Moon clan House)_문익점(남평문씨본리세거지) (0) | 2018.09.30 |
21~27.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_Won In Jae in Incheon(죽림칠현_인천 원인재) (0) | 2018.09.30 |
21~27.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_Soong Ui Jeon(죽림칠현_연천 숭의전) (0) | 2018.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