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 Brake
33. Mun Ikjeom(Nam pyeong Moon clan House)_문익점(남평문씨본리세거지) 본문
33. Mun Ikjeom(Nam pyeong Moon clan House)_문익점(남평문씨본리세거지)
GBbrake 2018. 9. 30. 18:47When the weather gets cold, we find thick clothes. There are various kinds of winter clothes ranging from jumpers to coats. Among them, the filling material which is widely used for the jumper is cotton. Cotton is a common material now, but it was not cultivated in Korea until the Goryeo Dynasty, and many people could not afford to wear silk clothes so they had to endure the cold winter with hemp clothes.
There is a person who introduces cotton to Goryeo, and he is Mun Ik Jeom.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reference room in my blog. (Https://gbbrake.tistory.com/manage/post/19)
In Daegu Dalseong-gun, there are Inheung Village, It is also called Nam pyeong Moon clan House, where the descendants of Mun Ik Jeom live. Originally, the monk Il-Yeon, who was the author of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uilt the temple in 1264 but it was completely destroyed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oon Kyung-ho, a descendant of Mun Ik Jeom, built Yongho Jae at this place in which Gwanggeodang is located now in the mid-19th century. It is origin of this villiage.
날씨가 추워지면 두꺼운 옷을 찾게 된다. 점퍼에서 코트까지 겨울용 옷들은 다양하다. 그중 점퍼에 많이 사용되는 충진재가 솜이다. 목화솜. 지금은 흔한 소재이지만 고려시대까지 목화는 국내에서 재배되지 않는 식물이었으며 많은 백성들은 비단옷을 입을 수 있는 형편이 못 되었기 때문에 추운겨울을 삼베옷 등으로 버텨야 했다. 이런 고려에 목화를 도입한 인물이 있으니 그가 바로 문익점이다. 문익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도록 하자.(https://gbbrake.tistory.com/manage/post/19)
대구 달성군에 가면 문익점의 후손들이 모여살고 있는 인흥마을, 남평문씨 본리세거지라고도 하는 집성촌이 있다. 원래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스님이 1264년 인흥사라는 절을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전부 소실된 후 19세기 중반 문익점의 후손인 문경호가 지금의 광거당 자리에 용호재를 건립하면서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Nam pyeong Moon clan House is located in Daegu, and takes about 4 hours by car from Seoul.
남평문씨본리세거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으며 서울에서 승용차로 약 4시간 걸린다.
Address : 16, Inheung 3-gil, Hwawon-eup, Dalseong-gun, Daegu, Republic of Korea
There is a parking lot in front of the village, so parking is easy. There is a cultural heritage commentator, and he gives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 town, but English explanation is not available now.
마을 앞에 주차장이 있어 접근이 용이하다. 문화관광 해설사가 있어 마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 주시나 영어로 설명은 어려운 실정이다.
Beautiful scenery of village. It is said that Nam pyeong Moon clan donated the land and Daegu city supported the landscape. I would like to thank to the clan and Daegu Metropolitan City for creating beautiful scenery.
아름다운 마을 진입로의 풍경. 남평문씨 종중이 땅을 기증하고 대구시에서 조경을 지원한 것이라 한다.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 주신 종중과 대구광역시에 감사드린다.
Cotton is planted in the access road to a village as a town where the descendants of Mun Ik Jeom live.
마을 진입로에는 문익점의 후손들이 사는 마을 답게 목화가 심어져 있다.
On one side of the cotton field, a stone pagoda which let us know that this place was for temple stand on this ground lonely as it tells the gratitude of years.
목화밭 한 켠에는 예전에 이곳이 절터였음을 말해주는 석탑이 세월의 무상함을 말해주듯 외로이 서 있다.
Now I go into town. In Korea, it is extremely rare that total village is preserved with its old form. For this reason, It is designated as a folk cultural asset by government and preserved.
이제 마을로 들어가 본다. 국내에도 이렇게 마을 하나가 옛모습을 간직한 채 유지되고 있는 곳은 극히 드물다. 하여 이곳은 국가에서 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It is difficult to come in unless you go along with the commentator because all the houses in the village are actually used now. The Gwanggeodang was the only one that the owner to allow to visit the house without accompanied by commentator.
마을안 모든 집들이 실제 거주하시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관광해설사와 동행하지 않으면 들어가 보기 어렵다. 유일하게 광거당은 주인께서 관광해설사 동행 없이 집안 구경을 허락해 주신다고 해서 들어가 보았다.
The building is in harmony with the pine tree to produce a spectacular view. It is said that the Gwanggeodang was a space used to be a private elementary school. The character of the board is said to be written by Kim Jung Hee who was the best calligrapher during end of Joseon dynasty.
건물이 소나무와 어울려 장관을 연출한다. 이곳 광거당은 예전에 서당으로 이용되던 공간이었다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그 유명한 추사 김정희가 쓴 것이라 한다.
I could get into the building with the care of the owner of the house. Even though it was very hot weather, the cool breeze blows in the room. It was really appreciated to the warm hospitality of the owner who gave the cool water. I looked at the inside of the house slowly and it was a very stably built house.
저택 주인의 배려로 건물안에 들어가 볼 수 있었다. 매우 더운 날씨였음에도 불구하고 실내는 시원한 바람이 산들산들 불었다.
시원한 물을 내어 주시는 주인어른의 따뜻한 인심이 고마웠다. 차분히 내부를 둘러보니 참으로 견고하게 잘 지어진 집이었다.
Moon Kyung Ho, who settled here, was said to have had a lot of knowledge about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t is said that the villages are arranged in a square shape, and pine trees are planted in some places of the village and these things have complemented weak points of this place. Even though I do not have any knowledge regarding this theory, the appearance of the village that I saw from outside seemed to be built in harmony with nature and good place to live in. I think that the descendants are blessed by the warm heart of Mun Ik Jeom who brought cotton and allowed the whole people of Goryeo to stay warm in the winter.
이곳에 터를 잡은 문경호는 풍수지리에 조예가 깊은 분이었다고 한다. 마을을 우물정자로 배치한 점, 마을 군데군데 소나무가 심어져 있는 점 등이 지세의 약한 부분을 물건으로 보완을 한 것이라고 한다. 필자는 풍수지리에 대한 지식은 없으나 마을 밖에서 본 마을의 모습은 자연과 잘 어우러져 있는 모습이 좋은자리에 집터를 마련하고 사는 것 같아 보였다. 목화솜을 들여와 고려의 전 백성들이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해 주신 문익점의 어진 생각에 후손들이 복을 받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King Sejo(Gwangneung)_ 세조(광릉) (0) | 2018.10.01 |
---|---|
81. Jeongjo(Yungneung and Geolleung, Hwasung)_ 정조(화성 융건릉) (0) | 2018.10.01 |
21~27.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_Won In Jae in Incheon(죽림칠현_인천 원인재) (0) | 2018.09.30 |
21~27.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_Soong Ui Jeon(죽림칠현_연천 숭의전) (0) | 2018.09.28 |
20. Choe Museon_Jinpo Maritime Theme Park_Gunsan(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0) | 2018.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