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Korea & Brake

68. Non Gae(Uigisa & Uiam, Jinju_ 논개(의기사/의암, 진주) 본문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68. Non Gae(Uigisa & Uiam, Jinju_ 논개(의기사/의암, 진주)

GBbrake 2018. 11. 1. 06:10

 The battle of Jinju created 2 great men. One is General Kim Simin, who has already been introduced, and the other is Non Gae.

 

 In 1592, although General Simin was gunned down by a Japanese soldier in the first battle of Jinju, but he gave big shock to Toyotomi Hideyoshi, Japan's first powerful man, as it was the biggest victory against Japan. In 1593, the second year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peace talks were held between Ming and Japan. As a result, the Japanese army withdrew from the northern and metropolitan areas of Joseon and retreated to the south coast. In the meantime, Toyotomi Hideyoshi ordered the Japanese army to retaliate against the defeat of the army and demonstrate power, and 100,000 Japanese soldiers were put in to capture just a Jinju Castle.


 During the 2nd battle of Jinju, the Joseon army was only a few thousand, and several military officials came to the suburbs of Jinju to save the castle but gave up to support because of absolute difference of troops. Even the generals of the Japanese army recommended that the Jinju should be taken unconditionally because it was the order of the upper line, and the Joseon army did not have a chance to win, so once the all people including civilians escaped and let the castle opened before the war, Japanese army captured the castle for a moment and withdrew right after.

 However, the Joseon army in Jinju castle could not believe the words of the Japanese army, and if the Jinju castle collapsed, the road to Jeolla province was opened, so the army determined to defend itself and eventually the 70,000 army and civilians were annihilated. The Japanese army did not really go to Jeolla-do after capturing the Jinju Castle.


 Non Gae was the 2nd wife of a general of the Joseon army. When her husband was killed in the second battle of Jinju, she attended the party, which Japanese officers held to celebrate the victory, and she then grabbed one of the Japanese officers and jumped to the Nam River and died. The place where the Japanese officers held the banquet was called the Chokseongnu Pavilion and the rock which Non gae jumped from called Uiam. For more information about Non Gae, please refer to the reference room in my blog. (http://gbbrake.tistory.com/28)


 Uigisa & Uiam are located in Jinju castle, Gyeongsangnam-do, and it takes about 4 hours by car from Seoul.


진주대첩은 위인 2명을 탄생시켰다. 한 명은 이미 소개한 김시민 장군이고 다른 한 명은 논개이다. 

 김시민 장군이 1592년 1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병이 쏜 총에 맞아 전사했지만 일본에 가장 큰 승리를 거두면서 일본 제1의 권력자였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충격을 안겨 주었다. 임진왜란 2년 째인 1593년 명나라와 일본사이에 강화회담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일본군은 북부 및 수도권 지역에서 철수하여 남해안까지 물러나게 된다. 이 와중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무력시위도 할 겸 진주성 패배에 대한 보복 공격을 일본군 전군에 명령하였고 당시 10만의 일본군이 진주성 하나를 함락하기 위해 투입되었다. 

 2차 진주성 전투당시 조선군은 수천명에 불과했으며 진주성을 구원하기위해 여러 명의 장수들이 진주 근교까지 왔다가 절대적인 병력차를 확인하고 진주성 구원을 포기했다. 일본군 장군들 조차 윗선의 명령이므로 진주성은 무조건 함락 시켜야 하고 조선군은 승산이 없으니 전쟁 전에 민간인들은 모두 탈출 시키고 성을 비워 놓으면 일시 점령했다가 물러나겠다고 권고했을 정도라고 한다.

 일본군의 말을 믿을 수 없었고 진주성이 함락되면 전라도로 가는 길이 열리기 때문에 진주성 내의 조선군은 결사항전키로 결의하였고 결국 성 내의 병력과 민간인 7만명은 전멸하였다. 일본군은 정말로 진주성만을 함락 시킨 뒤 전라도로 진격하지 않고 돌아가 버렸다고 한다.     


 논개는 조선군 장군의 후처로서 제 2차 진주성 전투에서 남편이 전사하자 일본 장수들이 승전을 축하하는 연회에 기생으로 참석, 일본 장수 중 1명을 끌어안고 남강으로 뛰어들어 죽었다. 왜장들이 연회를 열었던 장소가 촉석루이며 논개가 일본군 장수와 함께 뛰어내린 바위를 의암이라고 부른다. 논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도록 하자.(http://gbbrake.tistory.com/28)


의기사, 의암은 경상남도 진주성 내에 위치하며 서울에서 승용차로 약 4시간 걸린다.  




Address : 626 Namgang-ro, Seongji-dong, Jinju, Gyeongsangnam-do




 When you walk along the castle from the National Jinju Museum, you can see the Chokseongnu Pavilion located at the southern end of Jinju castle. It is one of the three major pavilions representing Korea and Japanese generals held the party here after the 2nd battle of Jinju.


 국립진주박물관을 나와 성곽을 따라 걷다 보면 진주성 남쪽 끝에 위치한 촉석루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대 누각 중 하나로 이곳에서 진주성을 함락 시킨 일본군 장수들이 연회를 열었다고 한다.  




 The scenery of the Chokseongnu Pavilion along the Nam River is beautiful. Imagine the noble man of Joseon dynasty sitting on a pavilion and enjoying a banquet. The Japanese military was also held a party here, in the most scenic place, after the fall of the Jinju Castle so the eyes that see beautiful things maybe transcending borders and supertemporal.


 남강을 끼고있는 촉석루의 경치가 아름답다. 진주 양반들이 누각에 앉아 연회를 즐기며 세월을 보내는 모습을 상상해본다.  일본군도 진주성 함락 후 제일 경치 좋은 이곳에서 연회를 열었다고 하니 아름다운 것을 보는 안목은 국경과 시간을 초월하여 통하는가 보다. 




 The poem, written 1,000 years ago, is still being told to us.


 1,000년 전에 이곳의 경치를 보며 지은 시가 아직도 전한다. 



 It is bigger than our estimation, so it has enough space for about 100 people to sit and eat.


 촉석루는 생각보다 규모가 커서 100명 정도는 앉아서 식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가지고 있다.





 I was sitting in the Chokseongnu Pavilion absent-mindedly for a while. The Nam River, which I looked cooling down steamy heat of July, flows steadily like the flow of time.


 촉석루에 앉아 잠시 멍하니 있어본다. 7월의 찌는 듯한 더위를 식히며 바라보는 남강은 시간의 흐름과 같이 고요히 흘러간다. 




 There is the Uigisa which is a shrine to honor the righteousness of Non Gae. According to one theory, she had put a ring on her ten fingers before joining the Japanese military party, so that her hands would not come loose even if she jumped into the Nam River with a Japanese general.


 촉석루 옆에는 논개의 의로운 뜻을 기리는 사당인 의기사가 있다. 일설에 따르면 논개는 왜장들의 연회에 나가기 전 열손가락에 반지를 끼워서 왜장을 안고 남강에 투신하더라도 손이 풀리지 않도록 했다고 한다.  




 It is the Ji Soo Moon which is the main gate of the Uigisa. The shrine was erected by the suggestion of many people in 1740 in honor of the righteous loyalty of Non gae.


 의기사의 정문인 지수문이다. 의기사는 1740년 논개의 의로운 충절을 기려 여러 사람의 건의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한다.



 When you enter through the Ji Soo Moon, you can see the shrine.


 지수문을 통해 사당내에 들어서면 의기사를 볼 수 있다. 



 Portrait in the shrine was originally painted by Kim Eun-ho, but it’s costume and hair style did not match with that of the time. For this reason, it was replaced with a national standard Portrait in 2008.


 사당 내의 영정은 원래 김은호가 그린 그림이 걸려있었으나 복식과 머리모양 등이 당대와 맞지 않아 2008년에 국가 표준영정으로 교체하여 봉안하였다.





 Bamboo, whose means fidelity, stands in the shrine. It seems to go well with the Uigisa.


 사당 내에는 절개를 뜻하는 대나무가 심어져 있다. 사당과 잘 어울리는 것 같다.



 When you come out of the shrine and walk down the stairs to the right, you can see the rock called Uiam. It is said to be a place where Non Gae jumped into the Nam River with a Japanese general. Looking down, I felt dizzy.


 사당을 나와 우측으로 난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의암을 볼 수 있다. 논개가 적장을 끌어안고 투신한 장소라고 전해진다. 아래를 내려다 보면 아찔하다.



 There is a monument in front of the rock to honor Non Gae.


 의암 앞에 논개를 기리는 비석이 서 있다.







 The people of Jinju castle fought righteously being surrounded by numerous Japanese troops and all died. I think one of the reasons why Joseon continued for another 300 years after the great crisis of the invasion of Japan in 200 years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was the patriotism that Jinju people showed. The Joseon Dynasty undergone a major change sinc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wly regulated system and economic culture could become the foundation upon which the second great era could be attained. The patriotism that Non Gae showed seems to be the driving force for the Korean people to live as the master of this land.


 진주성 사람들은 논개와 같이 수많은 왜군에 둘러싸여 의롭게 싸우다 전멸하였다. 

조선이 건국 후 200년 만에 임진왜란이라는 큰 위기가 찾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후 300년을 더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진주성 사람들이 보여주었던 애국심이라고 생각한다.  조선은 임진왜란을 전 후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며 새로 정비된 제도와 경제 문화의 발전이 제 2의 중흥기를 맞이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될 수 있었다. 논개가 보여준 애국심 이야말로 한민족이 이 땅의 주인으로 현재까지 살아낼 수 있는 원동력이 아닐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