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Korea & Brake

50. Jeongjong(Jongmyo Shrine, Seoul)_정종(종묘, 서울) 본문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50. Jeongjong(Jongmyo Shrine, Seoul)_정종(종묘, 서울)

GBbrake 2018. 10. 31. 05:36

 The first thing Lee Seong-gye, the founding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newly established country, did was to build Jongmyo and Sajik. Jongmyo is a shrine where memorial ceremony was done for the ancient kings and queens of the Joseon. It is said that Jongmyo had been completed more quickly and effort than Gyeongbokgung which was the residence of the king. It is said to have been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1995, with historic value recognized. It is a relatively well-known place for foreigners as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Seoul.


 Jeongjong is the 2nd son of Taejo, who became the second king of Joseon after Taejo, but he soon passed the throne to his younger brother, and spent the rest of his life as an ex-king. He was an excellent general winning various battles with his father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he had no desire to become a king and was afflicted by his brothers fighting and killing each other. I think he was a wise man who yielded his throne to his younger brother, Lee Bangwon who was an ambitious person, and pursued family peace. At present, the tomb of Jeongjong is located at Gaeseong, North Korea so we cannot go there. For this reason, Jongmyo was selected historical site related on him.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reference room in my blog. (http://gbbrake.tistory.com/159)


 Jongmyo is located next to Gwanghwamun in Seoul.


 조선의 창업군주 태조 이성계가 새로 나라를 세우고 가장 먼저 한 것이 종묘와 사직을 건설한 것이다. 종묘란 조선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사당이다. 왕의 거처인 경복궁보다 더 정성을 들여 빨리 완성했다고 하니 종묘에 대한 이성계의 마음이 어땠는지 알 만 하다. 역사적인 가치가 인정되어 1995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고 한다. 서울 중심에 있다 보니 외국인들에게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장소일 것이다.


정종은 태조의 2째 아들로서 태조의 뒤를 이어 조선의 2대 왕이 되었으나 곧 왕위를 동생 이방원에게 물려주고 상왕으로 여생을 보낸 인물이다. 고려시대에 아버지와 더불어 여러 전투에서 승리한 유능한 장수였으나 왕이 되겠다는 욕심은 없었으며 형제들이 서로 싸우고 죽이는 것을 마음 아파했다고 한다. 하여 야심가였던 동생 이방원에게 왕위를 양보하고 가족의 평화를 추구한 현명한 분이었다고 생각된다. 현재 정종의 릉은 북한의 개성에 있어 가 볼수가 없어 정종관련 유적지를 이 곳 종묘로 선정했다. 정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기 바란다.(http://gbbrake.tistory.com/159)


종묘는 서울 광화문 옆에 위치하고 있다.




Address : 157 Jong-ro, Hunjeong-dong, Jongno-gu, Seoul



 There is a parking facility in the Jongmyo so parking is not difficult, but the parking charge is expensive as 4,800 won per hour. It is recommended to visit using public transportation.


 종묘 내에 주차시설이 있어 주차가 어렵지 않으나 주차료가 1시간에 4,800 원으로 비싸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 드린다.



 When you go out after parking, there is a park in front of Jongmyo.


 주차를 하고 밖으로 나오면 종묘 앞에 공원이 있다.



 The entrance of Jongmyo.


 종묘의 입구.



 Admission is 1,000 won for adults, children, teenagers and those over 65 years old are free. 

 For foreigners, 1,000 won for adults and 500 won for 7-18 years old.


  입장료는 성인은 1000원이고,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65세 이상은 무료이다. 

  외국인의 경우 성인은 1,000원 7~18세까지는 500원이다.




 Once you enter the Jongmyo Shrine, you will see a stone road as you can see below. It is divided into three roads. The slightly higher road in the middle is Shinhyangro, which is a road for carrying the incense burner during the memorial ceremony, the right side called ‘Eo Ro’(road for the king), and the left is called ‘Seja Ro’(road for crown prince).


 종묘에 들어서면 아래 보시는 것처럼 돌로 된 길이 깔려 있다. 3개의 길로 구분되어 있는데 가운데의 약간 높은 길은 신향로로서 제례 때 향로를 받들고 다니는 길이고 우측은 왕이 다니는 어로, 좌측은 세자가 다니는 세자로라고 부른다.



 It is a place that was managed as the most sacred space in the Joseon Dynasty. For this reason, even though it is in the middle of Seoul, we can feel a solemn atmosphere inside. 


조선시대에 가장 신성한 공간으로 관리되던 곳이라 그런지 서울 한 복판에 있는데도 안에 들어오면 엄숙한 분위기가 풍긴다.



 Jongmyo is a space for sacrifice so the layout of the buildings is very simple compared to the palace. There are only a few buildings that are needed for rituals including the JeongJeon and the YeongNyeongJeon which enshrine the royal tablets of kings in the past.


 종묘는 제사를 위한 공간으로서 건물의 배치는 궁궐에 비해 매우 단순하다. 역대 왕의 위패를 모시는 정전과 영녕전을 중심으로 제례를 위해 필요한 몇 개의 건물들만 서 있다.







 Three roads are linked to each building of Jongmyo. When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entered this place, they seemed to move to all the buildings of the Jongmyo using this road without stepping on the soil.


 3개의 길이 종묘의 각 건물로 이어져 있다. 왕과 세자는 종묘에 들어서면 흙을 밟지 않고 종묘의 모든 건물을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만들어 놓은 것 같았다. 





 The entrance to the JeongJeon. It is easy to say that those who are considered as the kings of Joseon have made great achievements are here. Because it is a solemn space for rituals, the architecture is made to be as concise as possible, with almost no decoration.


 정전의 입구. 쉽게 말해 조선의 왕들 중 큰 업적을 남기셨다고 생각되는 분들은 여기에 모셔져 있다. 제례를 지내는 엄숙한 공간이기에 건축물들이 장식은 거의 배제하고 최대한 간결하게 만들어져 있다.   




 When you enter through the entrance, a spectacular view unfolds. It is a building with 21 rooms, 101m in length and each room enshrine tablet of king in the past. The large courtyard with a stone in front of the building is called a ‘Myojeong Woldae’, and it is built on hypobasis which is piled up higher than the ground. This implies that it is a space that separates it from other spaces and leads to heaven.


 입구를 통해 안으로 들어서면 장관이 펼쳐진다. 길이 101m 인 21칸짜리 건물로서 매 칸마다 역대 왕들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건물 앞 돌로 된 넓은 뜰은 묘정 월대라 부르는데 지면보다 높게 단을 쌓은 뒤 그 위에 조성되어 있다. 이는 다른 공간과 구분 지어 천상으로 이어지는 공간임을 암시한다고 한다.



 It is said that the building of JeongJeon was rebuilt after burni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ut the stone foundation retains its old form. Unlike the palace, it is very simple and restrained. It shows the intention of the building of Jongmyo through boldly omitted molding and simple composition. Dancheng is also very concise and shows solemn atmosphere. It i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227.


정전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다시 지은 것이라고 하지만 돌로 된 기단은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궁궐의 모습과는 달리 지극히 단순하고 절제되어 있다. 과감히 생략된 조형과 단순한 구성으로 종묘의 건축의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단청 또한 매우 간결하여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 낸다. 국보 제 227호로 지정되어 있다.



 It builds up the sanctity by darkening the interior space through piling up all the walls without windows. A pair of the doors are in the left and right side of entrance. If you look closely, the door does not fit well, and it is slightly twisted and opened. It symbolizes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oul enters and leaves, and actually acts as a vent.


창문이 없이 모든 벽체를 쌓아 올려 내부 공간을 어둡게 함으로써 신성함을 높이고 있다. 내부로 출입하는 문은 좌, 우 각 두 짝씩 달렸는데 자세히 보면 문이 잘 맞지 않고 약간 뒤틀려 아래 위가 벌어져 있다. 이는 혼이 드나드는 통로를 상징하며 실제로 통기구 역할을 하기도 한다. 



 On top of a spacious square, the glorious moments of the dynasty pass by. The Joseon dynasty, which seemed to last forever after Taejo established a new dynasty and declared a new world after the fall of the Goryeo dynasty, which had lasted for more than 400 years, disappeared after adding a new page to the history more than 500 years. As a Korean citizen, I wonder how future generations will evaluate the present.


 드넓은 묘정 월대위에 서면 왕조의 영화로웠던 순간들이 스쳐 지나간다. 400년 넘게 이어온 고려왕조가 무너진 후 태조가 새 왕조를 세우고 새로운 세상을 천명한 후 영원히 이어질 것 같은 조선왕조도 500년이 지나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사라졌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으로서 후대의 사람들은 현재를 어떻게 평가하게 될 지 궁금하다.  




  I go out of JeongJeon and go to YeongNyeongJeon.


  정전을 나와 영녕전으로 향한다.




 Outside appearance of YeongNyeongJeon.


 영녕전의 외부모습. 



 YeongNyeongJeon is the shrine to honor four ancestors of the Taejo, who were not a king in their lifetime but honored as king after death, and the kings who have not accomplished much great things than those in JeongJeon. Most of them are short-lived or honored as king after death.


 영녕전은 태조의 4대 조상으로 생전에는 왕이 아니었으나 사후 태조에 의해 왕으로 추존된 분들과 정전에 계신 분들에 비해 큰 업적을 남기지 못한 왕들을 모셔 놓은 사당이다. 대부분 재위기간이 짧거나 왕으로 추존된 분들이라고 보면 되겠다.




 It was built in the same form as JeongJeon, but the size is narrower. There are 4 spaces in the center and 6 spaces in each of the narrow spaces on the left and right. They are 16 spaces as total. The central four chambers are the same height and size as the JeongJeon, and the left and right chambers are narrower and lower.


정전과 같은 형식으로 건축되었으나 규모면에서 정전에 비해 건축영역이 좁다.  중앙에 정전 4칸 좌우에 각각 협실 6칸씩을 두어 모두 16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정전에는 태조의 4대조가 모셔져 있다. 중앙 4개 칸만 정전과 같은 높이와 크기이고 좌, 우의 협실은 정전에 비해 좁고 낮게 되어 있다.   




 It is said that the shrine of Goryeo was torn down and the tablets of the previous kings which were enshrined were floated on the ship. However, the Jongmyo of Joseon is preserved well like this so I think the kings of Joseon are lucky.


 고려의 종묘는 헐리고 그 안에 모셔져 있던 역대 왕들의 신주는 배에 실려 바다에 띄워졌다고 하는데 그래도 조선의 종묘는 이렇게 보존되어 후대에 전해지니 조선의 왕들은 운이 좋은 것 같다.






 The appearance of the ornaments placed on the roof of YeongNyeongJeon is funny and seems to relax the solemn atmosphere of the Jongmyo.


 영녕전 지붕에 올려진 장식물들의 모습이 재미있어 엄숙한 종묘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누그러뜨려 주는 것 같다.





 When you go back out of YeongNyeongJeon, you will get a walk way. It is fortunate that there is room for quiet walk in the center of Seoul where development is still carried out here and there.


영녕전을 나와 뒤로 돌아가면 산책길이 나온다. 현재도 여기저기 개발이 이루어지는 서울 한 복판에 조용하게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다행스럽다.  



 Behind the trail of Jongmyo. It was connected to the south side of Changdeok and Changgyeong Palace by a pass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the road was cut off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now it is connected using the overpass.


 종묘의 산책길 뒤편. 조선시대에는 이곳이 창덕궁과 창경궁의 남쪽과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도로가 나 끊기게 되었고 현재는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Well in front of the Jeonsachung. It was the space where food was prepared when it performed the ceremony and the water needed for preparing food seemed to be used from here.


전사청 앞 우물. 전사청이란 제례를 치를 때 음식을 마련하던 공간으로 음식 준비할 때 필요한 물을 이곳에서 길어서 사용했을 것이다.




 Jongmyo ritual i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which all rituals such as ritual process and music used are preserved perfectly. In addition to the Jongmyo Shrine, Royal ancestral rites music is also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is perfectly preserved form is so hard to find anywhere in the world. This music is still conveying the melody of 500 years ago until today, so its significance is very big. The Royal ancestral rites music is performed at the Jongmyo festival held once a year on the first Sunday of May.


 종묘제례는 제례절차와 사용되는 음악등 모든 의식이 완벽하게 보존된 무형문화재로서 종묘와 더불어 종묘제례악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렇게 완벽하게 형태가 보존된 예는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할 정도이다. 500년 전의 선율을 오늘에까지 그대로 전하고 있어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종묘제례악은 1년에 한번 5월 첫째 일요일에 개최되는 종묘제례에서 연주되니 이 점 참고하도록 하자. 



 I hope that Jongmyo and Royal ancestral rites music will continue to be well preserved and passed down in future generations without any missing.


 종묘와 종묘제례악이 앞으로도 계속 잘 보존되어 후대에 잊혀지지 않고 전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