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Korea & Brake

90. Yun Dong-ju(Literature Museum, Seoul Seochon)_윤동주 문학관(서울 서촌) 본문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90. Yun Dong-ju(Literature Museum, Seoul Seochon)_윤동주 문학관(서울 서촌)

GBbrake 2019. 3. 19. 14:05

The literatur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 ~ 1945) was able to announce only works that passed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so the literary men were forced to express restrictions. Therefore, the authors chose one of the ways of expressing their works by releasing their expressions differently from their original intentions, or by keeping silent without presenting them at all. Until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orks that sang nationalism and the desire for independence appeared. However, as Japan pursued the imperialist line in earnest, the Korean people's extinction policy became extreme. Many of the writers who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had turned toward pro-Japanes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using the expression "turncoat" to the writers, who published the pro - Japanese literature, and driving them to the corner coldly because it was almost impossible to work in Korea maintaining a sense of resistance in the atmospher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I think that the one who stood firmly in this atmosphere and spread out his literary world deserves to be respected, and one of them is poet Yun Dong-Ju.


Born in Manchuria, China, he was arrested in Japan for his anti-Japanese campaign and died in Fukuoka prison at the age of less than 30. Although he left the world at a young age, his works are well known and loved by many people in the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For more information on poet Yoon Dong-ju, please refer to the information room. (https://gbbrake.tistory.com/37)


 일제강점기(1910~1945)의 문학은 일제의 검열을 통과한 작품들만 발표할 수 있었기 때문에, 문인들은 표현의 제약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작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의 표현을 원래 의도와는 다르게 표현을 완화하여 발표하거나 아니면 아예 발표하지 않고 침묵을 지키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었다. 그나마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는 민족주의, 독립에 대한 열망 등을 노래한 작품들이 등장하였으나 일본이 제국주의 노선을 본격적으로 따라가면서 한민족 말살정책이 극단적으로 치닫게 되었고 이에 기존에 민족주의를 추구하며 일제에 저항하던 문인들의 다수가 친일성향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일제 말의 분위기에서 저항의식을 유지하면서 한국 내에서 작품활동을 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친일문학을 발표한 작가들에게 변절자라는 표현을 쓰며 매몰차게 몰아붙이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 나간 분은 존경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하며 그 중 한 분이 바로 윤동주 시인이다.

 

 중국 만주에서 태어나 30세도 안되는 나이에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제에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요절하였다.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작품들은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도 수록될 만큼 유명하고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시인 윤동주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시기 바란다.(https://gbbrake.tistory.com/37)



Yun Dong-Ju Literary Museum is located in Jongno-gu, Seoul, and there is no parking lot in front of the building so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s recommended. The admission fee is free.

 

 윤동주 문학관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 앞 주차장이 없으며 서울의 교통체증이 심하기 때문에 대중교통 이용을 추천한다. 관람료는 무료이다.


Address : 119, Changuimun-ro,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



A picture taken on the way to Yun Dong-Ju Literary Museum from the Changuimun Gate. It is interesting because it contains the image of Changuimun Gate in the early 1900s.


 창의문에서 윤동주 문학관으로 가는 길에 찍은 사진. 1900년대 초 창의문의 모습이 담겨있어 흥미롭다.



Changuimun Gate is the same as it was 100 years ago.


 창의문은 100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모습이다.



 Yun Dong-Ju Literary Museum is seen across the road from the Changuimun Gate. The location of the end of the Bugaksan course on the Seoul city wall is the Changuimun Gate. Since Yun Dong-Ju Literary Museum is right in front of the Changuimun Gate, I think it will be a beneficial one-day trip to Seoul if you stop by after trekking the Bugaksan course.


 창의문에서 내려오는 길 건너편으로 윤동주 문학관이 보인다.

 서울 성곽길의 북악산 코스가 끝나는 지점이 창의문인데 이곳 윤동주 문학관은 창의문 바로 앞에 있기 때문에 성곽길 탐방 후에 들르시면 유익한 1일 서울여행코스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building of the Literature Museum is unusual. Yoon Dong-ju resided in Jongno for about a year from 1941 and many works were born here. In order to honor this ties with Yun Dong-ju in Jongno-gu, the literary museum has been built in 2012 by remodeling the disused water pumping station.


 문학관의 건물이 이색적이다. 윤동주는 종로에서 1941년부터 약 1년동안 거처하였으며 이곳에서 많은 작품이 탄생하게 되었다. 종로구에서 윤동주와의 이러한 인연을 기리기 위해 폐기된 상수도 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2012년에 문학관을 건립하였다.



It has a wonderful appearance as if it was newly built for the Literature Museum.


 문학관을 위해 새로 지어진 것 같은 훌륭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This build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practice of reuse of public architecture and is a beautiful building that won many architectural awards at the time.


 이 건물은 공공건축 재사용의 모범사례로 꼽히며 당시 여러 건축상을 수상한 아름다운 건물이다.





The size of the literary museum is small. There are three exhibition halls, I could not capture 1st hall in blog because taking photo is prohibited.

 It is worthy to visit this museum because Yoon Dong-ju's original poetry has been preserved and displayed in this. There is a well model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hall. It seems to be reproduced the well which is appeared in "Self Portrait", one of poet's works.


I could feel his clean character in the handwriting of Yoon Dong - ju 's poet in the works displayed.


 문학관의 규모는 아담하다. 전시관은 총 3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1 전시관의 경우 사진촬영이 금지되어 있어서 블로그에 담지는 못했다.

 윤동주 시인이 생전에 친필로 적은 여러 귀중한 진본 자료들이 보관/ 전시되어 있어서 관람의 가치는 충분하다. 전시관 가운데에는 우물 모형이 있다. 시인의 작품 중 하나인 자화상에 나오는 그 우물을 재현해 놓은 듯하다


 전시된 작품들 속의 윤동주 시인의 필체에서 반듯한 그의 성품을 느낄 수 있었다.



If you pass through the 2nd exhibition room without knowing that it is an exhibition room, it is easy to pass by knowing it as a passage which connects 1 exhibition room and 3 exhibition rooms. This is called 'Open Well', which was created by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disused water tank. It was created with the motif of a well that appeared in one of his poem 'Self Portrait'. It is a space where you can feel the accumulation of memories and the flow of time because the trace of the water that was stored at the time when it is used as a water tank remains intact on the wall.


 제2전시실은 전시실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지나가면 그냥 1전시실과 3전시실을 이어주는 통로로 알고 무심코 지나치기 쉽다. ‘열린 우물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용도 폐기된 물탱크의 윗부분을 개방하여 만들어진 공간으로서 자화상에 등장하는 우물을 모티브로 하여 조성되었다. 물탱크로 이용될 당시 저장되었던 물의 흔적이 벽에 고스란히 남아 있어 기억의 퇴적과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2nd exhibition room, we enter the 3rd exhibition room and a dark and cool space welcomes us. It is said to be a ‘closed well’, and it is said that the place which preserved the disused water tank in its original shape was created as room for silence and meditation.


 제2전시실을 지나 3전시실로 들어가면 어둡고 서늘한 공간이 우리를 맞이한다. ‘닫힌 우물’ 이라고도 하는데 용도 폐기된 물탱크를 원형 그대로 보존한 이곳은 침묵과 사색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Here you can watch a movie which shows a glimpse of Yun Dong-Ju's life and work world. Until his death at a young age in a prison of Japan, the poet wrote his works in a deeply self - reflective attitude, constantly looking back at the life and surroundings given to him in the bitter reality of a deprived country.


 이곳에서 윤동주 시인의 일생과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젊은 나이에 일본땅의 어느 감옥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시인은 빼앗긴 조국이라는 뼈아픈 현실속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삶과 주변을 끊임없이 돌아보며 깊은 자아성찰의 자세로 작품을 써 내려갔다



 You can meet Yun Dong-Ju, a poet who writes each letter in block style on paper with careful consideration in the works that convey deep resonance to the mind as you read it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is not so difficult to read.


 그리 어렵지 않은 문체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으면 읽을수록 마음에 깊은 울림을 전해주는 작품들 속에서 한글자 한글자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종이에 반듯하게 정자로 쓰는 시인 윤동주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There is a staircase that goes up to the 'Hill of poet Yun Dong-Ju' when you leave from the museum and turn right.


 문학관을 나와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시인의 언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It is said that the poet Yun walked around near this place to compose poetic concept. In order to commemorate it, there is a place called "the Hill of poet Yun Dong-Ju" in the park and a poetry memorial stone for ‘Seosi(Prologue)’, one of poet's works, stands in there.


 이 부근에서 윤동주 시인이 산책을 하면서 시상을 가다듬은 것으로 전해지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공원 내에 시인의 언덕이라고 부르는 곳이 있으며 거기에 시인의 작품 중 하나인 서시’ 시비가 서 있다.










When you stand on a hill, a cool breeze blows. The panorama of Seoul, including Namdaemun and Namsan towers, comes in at a glance.


 언덕위에 서면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 저 멀리 남대문과 남산타워를 비롯한 서울의 전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It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et Yun standing and looking down at, but the outline and the mountains would not be much different. One night after the winter passes and the spring pervade, I imagine Yun Dong-Ju, a young man who anguish the direction of life in the given reality.


 윤동주 시인이 서서 내려다보던 그 당시의 모습과는 차이가 있겠지만 그 윤곽과 산의 모습들은 많이 다르지 않을 것이다. 겨울이 지나고 봄이 스며드는 어느 날 밤 주어진 현실속에서 삶의 방향을 고뇌하던 청년 윤동주를 그려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