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 Brake
5. King Gwanggaeto the great(Chungju Goguryeo Stele)_광개토대왕(충주 고구려비) 본문
5. King Gwanggaeto the great(Chungju Goguryeo Stele)_광개토대왕(충주 고구려비)
GBbrake 2019. 2. 24. 09:37Chungju Goguryeo Stele is located in Chungju, Chungcheongbuk-do, and takes about 1 hour and 50 minutes by car from Seoul.
충주 고구려비는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으며 서울에서 승용차로 약 1시간 50분 정도 걸린다.
Address : 280-11 Yongjeon-ri, Gageum-myeon, Cheongju, Chungcheongbuk-do
Recently, the museum has been built so that visitors can watch the Goguryeo Stele indoors. There is a large parking lot in front of the exhibition hall as shown below.
최근에 고구려비를 실내에서 볼 수 있도록 전시관을 건립하여 편안한 관람을 제공하고 있다. 아래와 같이 전시관 앞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The appearance of the exhibition hall. The building, built in July 2012, has a simple but sophisticated appearance.
전시관의 모습. 2012년 7월에 건립된 건물로서 단순하지만 세련된 외관이 인상적이다.
The admission fee is free. For reference, Chungju Goguryeo Stele is the only remaining Goguryeo Stele in Korea and is currently designated as the 205th National Treasure of the Republic of Korea.
관람요금은 무료이다. 참고로 충주고구려비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비 이며 현재 대한민국 국보 제 205호로 지정되어 있다.
Chungju is the 2nd most developed city after Cheongju in Chungcheongbuk-do, with a population of 210,000, and the largest in terms of area. There are many places to see such as Tangeumdae Terrace, Jungangtap Park, etc, so please refer to this if you have a plan to visit Chungju.
충주는 인구 21만명의 충청북도에서 청주에 이은 2번째로 발달된 도시이며 면적으로 따지면 최대 규모이다. 탄금대, 중앙탑공원 등 볼거리도 많으니 근처 관광시에 참고하시면 좋겠다.
There is only one passage from the entrance to each exhibition room, so it is not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rection of the viewing. You can watch through walking to the place where you can see it.
입구에서 각 전시실로 이어지는 통로가 한 개 뿐이라 관람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어서 편하다. 보이는 곳으로 쭉 걸어가시면서 관람하시면 되겠다.
With the modern railroad and road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hungju has stepped down from the central axis of national development, but until the Joseon Dynasty, Chungju was the center of traffic. In order to come to Seoul from Gyeongsang Province, people had to go through Mungyeongsaejae Pass. The area connecting Mungyeongseajae Pass and Seoul was Chungju. This city is also located along the Namhan River, so it is the region that land and river meet each other. It this reason, it had a very important position as a trade rout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pathway that was used when the Japan military landed in Busan and stepped into Hanyang was also Chungju and the battle of Tangeumdae, which was the 1st major battle between the Joseon and Japanese forces, also occurred here in Chungju.
일제시대에 들어와서 현대식 철도, 도로가 놓이면서 국가발전의 중심축에서 한 발 물러나 있었지만, 조선시대까지 충주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경상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오기 위해서는 문경새재를 지나야 했는데 문경새재와 서울을 잇는 지역이 바로 충주였다. 또한 남한강도 끼고 있어서 육로와 해로가 서로 만나는 지역이니 교역로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부산에 상륙해서 한양으로 진격할 때 사용한 통로도 이곳 충주이며 조선군과 일본군의 최초 대규모 전투였던 탄금대 전투도 이곳 충주에서 발생했다.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Three Kingdoms fought hard to occupy this place because it was the main route to transportation from south to north, or from north to south. As a result, a country with the strongest national power at the time could occupy this area. In the case of Goguryeo, King Jangsu, son of Gwanggaeto, reached highest point of nation power. At this time, he extended territory to the south and got Chungju. For about 70 years after this, it became the territory of Goguryeo.
삼국시대에도 이곳은 남에서 북으로, 또는 북에서 남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의 요지였기 때문에 삼국은 이곳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하여 결과적으로 당시에 가장 강한 국력을 가진 국가가 이 지역을 차지할 수 있었다. 고구려의 경우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대에 이르러 국력이 최고에 달했는데 이 때 남쪽으로 국토를 확장하면서 이곳 충주를 손에 넣었다. 이후 약 70년간 이곳은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The symbol of appearance of the Goguryeo army is 'Gaema Musa'. It is said that it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military systems of ancient times. It is form of cavalry which have fully armed with armor both horses and soldiers. Based on this mighty army, King Gwanggaeto was able to win all the big and small battles throughout his life.
고구려 군대하면 떠오르는 모습은 '개마무사' 이다. 고대의 가장 강력한 군사체계 중 하나였다고 전해지며 말과 병사 모두 철갑으로 완전무장한 형태의 기병이다. 이 막강한 군대를 바탕으로 광개토대왕은 전 생애에 걸친 크고 작은 전투에서 모두 승리할 수 있었다.
The Goguryeo stele was built to commemorate this achievement after Chungju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by the Southward advance policy of King Jangsu. After a long time since the fall of Goguryeo, the existence of the monument has been forgotten by people, but it kept its place silently for over a thousand years. Since an auspicious monument stands here, this place, which is called 'Seon dol Village', was changed into Chinese character and became 'Ip seok Village'.
고구려비는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 충주를 영토에 편입시킨 뒤 이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비석이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오랜 세월이 지나 비석의 존재는 사람들에게 잊혀져 갔지만 비석은 천 년이 넘은 세월동안 묵묵히 자리를 지켰다. 상서로운 비석이 서 있다 해서 '선돌마을'이라 이름 붙은 이곳은 한자로 이름만 바뀌어 '입석마을'이 되었다.
The inside of the exhibition hall was totally dark in order to give a mysterious feeling as if it is under a time travel.
전시관 내부는 흡사 시간여행을 떠나온 것 같은 신비로운 느낌을 주기위해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기 였다.
A symbol of the Goguryeo, ‘Sam Jock O(Three-legged crow)’. It is a legendary bird that is believed to live in the sun in ancient East Asia, with three legs.
고구려를 상징하는 문양인 삼족오. 고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속에 산다고 여겨지는 전설의 새로서 발이 세 개이다.
Not only the Goguryeo stele but also the history of Goguryeo was also clearly explained in the exhibition hall.
전시관 안에는 고구려비 이외에도 고구려의 역사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었다.
The paintings drawn in the background below are drawn on the murals of Goguryeo tombs. It is a valuable resource for a glimpse of the lives of the Goguryeo people.
아래 배경으로 그려진 그림들은 고구려 고분의 벽화에 그려진 것들이다. 고구려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The appearance of Goguryeo warrior and the Janggunchong(Tomb of King Jangsu).
고구려 무사와 장군총의 모습.
The Janggunchong is an old Goguryeo burial mound estimated to be the tomb of King Jangsu. I could not visit there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hinese city, but it could be seen as a model in the Goguryeo Stele exhibition hall.
장군총은 장수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으로서 중국 집안시에 있어 가볼 수는 없고, 아쉬운대로 고구려비 전시관에서 모형으로 만나볼 수 있었다.
In comparison with Gaema Musa which even horse wear armor, this Goguryeo warrior wears his armor only. I could feel the strong spirit of Goguryeo people.
개마무사는 말도 갑옷을 입는데 반해, 이 고구려 무사는 본인만 갑주를 걸쳤다. 고구려인의 강인한 기상을 느낄 수 있었다.
It is finally time to meet today's hero Goguryeo Stele. Compared to the tomb stone of the great king Gwanggateo of more than 6m, the size is small, but the significance of this monument is quite magnificent. The abrasion of the stele is so severe that there are not many characters that can be read, but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at the territory of Goguryeo has expanded to Chungju,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kingdoms at that time.
드디어 오늘의 주인공 고구려비를 만날 시간이다. 6m가 넘는 광개토대왕릉비에 비하면 그 크기가 아담하지만 이 비석이 주는 의미는 상당히 웅대하다. 비석의 마모가 상당히 심해 판독이 가능한 글자가 많이 없지만, 고구려의 영토가 한반도의 중심부인 이곳 충주까지 확대되었음과 당시 3국간의 관계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There is a Goguryeo stele in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hall, and around it, the rubbing of the Goguryeo stele and the tomb stone of the great king Gwanggateo and the detail explanation of them were displayed.
전시관 중앙에 고구려비가 서 있으며 그 주위로 고구려비와 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과 이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었다.
Although it has been very long since Goguryeo disappeared into history, this stele still looks down on it as if there is something to say. What was the erased letter and what did it wanted to tell us? Only the Goguryeo stele may know this secret. The interesting thing about ancient history is that lack of historical records can be made up with realistic imagination. The Goguryeo stele, which stand over 1,500 years, meets the writer who stands on this land and lives in the present. Supertemporal Storytelling is just starting.
고구려는 이미 역사속으로 사라진 지 오래 됐지만 이 비석은 아직도 하고 싶은 말이 있는 듯 내려다 보고 있다. 지워진 글자는 무엇이었으며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고자 했을까. 이에 대한 비밀은 고구려비만이 알고 있을 것이다. 고대사가 재미있는 점은 부족한 사료를 현실감 있는 상상력으로 채워 나간다는 것이다. 150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서 있는 고구려비가, 이 땅에 서서 현재를 살고 있는 필자와 마주한다. 긴 시간을 뛰어넘는 스토리텔링이 시작된다.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Kim Jeong-ho(Yakhyeon Catholic Church, Seoul)_김정호(약현성당, 서울) (0) | 2019.03.19 |
---|---|
90. Yun Dong-ju(Literature Museum, Seoul Seochon)_윤동주 문학관(서울 서촌) (0) | 2019.03.19 |
29. Jinul(Donghwasa, Daegu)_지눌(대구 동화사) (0) | 2019.02.01 |
56~61. Six Martyred ministers(사육신)_ Yuksinsa & Myogol Village in Daegu(대구 육신사, 묘골마을) (0) | 2019.01.28 |
99. Lee Sang(Lee Sang's House, Seochon in Seoul)_(이상의 집, 서촌) (0) | 201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