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Korea & Brake

56~61. Six Martyred ministers(사육신)_ Yuksinsa & Myogol Village in Daegu(대구 육신사, 묘골마을) 본문

100 Great Men Who Brightened Korea

56~61. Six Martyred ministers(사육신)_ Yuksinsa & Myogol Village in Daegu(대구 육신사, 묘골마을)

GBbrake 2019. 1. 28. 22:55

 The industrial complex is located in the west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past, textile compan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is industrial complex, which is about half of all businesses, but now, machinery and metal industry are the main. When you go out from the center of Daegu and go to the west, the scenery of the rural area can be seen after the industrial complex and it is Dalseong-gun. Although Daegu is still a metropolitan city and serves as the center of Gyeongsangbuk-do, it was also the center of Yeongnam province as a geographical key point. There is a village where the descendants of Park Paeng-nyeon, one of the Sayuksin(Six Loyal Ministers), gathered, so I visited here.


 Sayuksin(Six Martyred ministers) are the loyal subject who were executed after being founded the revolt which they planned the return of King Danjong(They denied Sejo who had forcibly inherited throne of his nephew in the Joseon Dynasty.) They are Park Paeng-nyeon, Seong Sam-mun, Yi Gae, Yu Seong-won, Ha Wi-ji and Yu Eung-bu. According to the law of the time, the rebels were all executed including their father, brother, son, grandchild, and nephew by the involvement system. It is believed that 500 to 800 people were executed because of this incident. There is a place where the descendants of Park Paeng-nyeon survived and continue their roots in the situation where such bloody winds were driven, and this is the Myogol village of Daegu Dalseong - gun. For more information on the Sayuksin, please refer to the reference room in my blog. (https://gbbrake.tistory.com//27)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Myogol village is interesting.

The descendants of Park Paeng-nyeon also got disaster that wipes out whole family, and the daughter-in-law of Park was also dragged into her hometown as maidservant of government. At that time, the daughter-in-law was pregnant, and when she gave birth, if the baby is a son, he would be killed and daughter would be slave. Eventually, she had a son, but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maid who gave birth to a daughter in her father’s house. She changed her baby to the maid’s daughter and they could save the life of 2 babies. After being raised in secret under the name of Park Bi by his grandfather, he surrendered himself to the government by the recommendation of his uncle, who was appointed as a Gyeongsang-do governor when he was 17 years old. The Court public opinion was that the Sayuksin had done the right thing. Seongjong, the king of at that time, pardoned Park Bi and gave him the name "Ilsan" and also gave government position. With the property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and from the grandfather, Park Ilsan is settled here in Myogol,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village.


 대구광역시의 서쪽은 산업단지가 자리하고 있다. 과거 섬유업체가 전체 사업체의 절반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섬유공업에 편중되어 있으나 현재는 기계, 금속공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구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나와 산업단지를 지나면 한적한 농촌 풍경을 볼 수 있는데 이곳이 달성군이다. 대구는 현재도 광역시로서 경상북도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예전에도 지리적 요충지로서 영남지방의 중심이었다. 이곳에 사육신 중 한 분인 박팽년의 후손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이 있다고 해서 찾아가 보았다. 

 

 사육신은 조선시대에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강제로 이어받은 세조를 부정하고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6명의 충신을 일컫는 말이다. 성삼문, 하위지, 박팽년, 김문기, 이개, 유성원이 그들이며 당시의 법도에 따라 반역자는 연좌제에 의해 본인과 아버지, 형제, 아들, 손자, 조카까지 가족들이 모두 처형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500~800명이 처형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피바람이 몰아치는 상황에서 박팽년의 후손이 살아남아 그 뿌리를 이어가고 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대구 달성군 묘골마을이다. 사육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도록 하자.(https://gbbrake.tistory.com/27)


 묘골마을의 탄생배경은 흥미롭다.

박팽년의 후손들도 멸문의 화를 입었으며 그때 박팽년의 며느리도 친정동네에 관비로 끌려가게 되었다. 그때 며느리는 임신중이었는데 아들을 낳으면 죽임을 당하고 딸이면 관비로 삼게 되어 있었다. 결국 아들을 낳게 되었으나 같은 시기에 딸을 낳은 여종이 있어서 아이를 바꾸어 기름으로써 둘 다 목숨을 보전할 수 있었다. 외할아버지에 의해 박비라는 이름으로 비밀리에 키워진 후 17세가 되었을 때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해 온 이모부의 권유에 의해 조정에 자수하게 된다. 당지 조정 여론은 사육신들이 옳은 일을 했다는 분위기 였으며 당시 임금인 성종은 박비를 사면해 주고 '일산'이라는 이름을 하사했으며 벼슬도 내려주었다. 박일산은 정부에서 받은 재산과 외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가지고 이곳 묘골에 정착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묘골마을의 시작이다. 


 Myogol Village is located in Habin-myeon, Dalseong-gun, Daegu City and it takes about 3 hours and 30 minutes by car from Seoul. From Seoul to Daegu, it takes about 2 hours by KTX, but using car is recommended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visit her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묘골마을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에서 승용차로 약 3시간 30분 걸린다. 서울에서 대구까지 KTX로는 약 2시간이 걸리지만 동대구역에서 이곳 묘골마을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해 방문하는 것이 불편하기에 승용차 이용을 추천 드린다.


Address : 64, Yuksinsa-gil, Habin-myeon, Dalseong-gun, Daegu, Republic of Korea



 There is a Chungjeolmun(loyalty gate) at the entrance to the village. We can imagine that this is a place related to the Sayuksin. Chungjeol is the abbreviation of loyalty and fidelity, which means a mind of the Sayuksin to serve Danjong to the end.


 묘골마을로 들어가는 입구에 충절문이 서 있다. 이곳이 사육신과 관련된 장소임을 짐작케 한다. 충절이란 충의와 절개의 줄임말로써 사육신의 단종을 끝까지 섬기려 한 마음을 의미한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Chungjeolmun, you can see the memorial hall for Sayuksin at the entrance of Myogol village.


 충절문을 지나 묘골마을 입구에 다다르면 사육신 기념관이 보인다. 



 There is a large parking lot in front of the hall so you can park here. The memorial hall was opened in 2010, and the contents and history of the Myogol village and information related Sayuksin are exhibited.


 앞에 넓은 주차장이 있어 이곳에 주차를 하시면 되겠다. 사육신 기념관은 2010년 개관하였으며 묘골마을의 내력과 현황, 그리고 사육신에 관한 내용이 전시되어 있다.  



 The exterior is a hanok(Korea traditional house), but the interior is decorated in a modern style as it was built recently.


 외부는 한옥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최근에 세워진 기념관답게 내부는 현대적인 분위기로 꾸며져 있다.



 All explanations are in Korean. Foreign tourists don’t seem to visit here.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는 경우는 없는 듯 모든 설명이 한글로 되어 있다.



 Originally, this shrine was built only for Park Paeng-nyeon, and his descendants held ancestral rites there for him. One day, one of his descendants, Park Gye-chang, had a dream in which he saw Sayuksin gathered around the shrine on the day of the ancestral rite for Park Paeng-nyeon, so after that ancestral rites were held to honor all of them. Below is a model that shows the memorial ceremony to the Sayuksin.


 이곳 묘골마을은 박팽년의 후손들이 살고 있어서 원래는 박팽년만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후손 중 한 분이 박팽년의 제삿날 꿈에 박팽년이 다른 사육신 분들과 사당에 함께 들어오는 것을 본 후 나머지 다섯 분들의 제물도 함께 차려 제사를 지냈고, 그 후로는 제사를 지낼 때 사육신을 함께 모시고 있다고 한다. 아래는 사육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If you go up a little after leaving the building, you can see the Myogol village. The 'Myogol' means a valley looks odd.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village is unique to its name, so you cannot see the village from the outside and you cannot see outside from the village.


 사육신 기념관을 나와 위로 조금만 올라가면 묘골마을이 보인다. '묘골'은 묘하게 생긴 골짜기 라는 뜻인데 그 이름에 걸맞게 마을의 지형이 독특해서 밖에서 보면 마을이 보이지 않고 마을에서도 밖을 볼 수가 없다. 



 This place is a very good spot In terms of feng shui(geomantic principles). As you can see from the pictures below, there are a lot of palatial Tile-roofed houses that I have never seen before, and there are many great people from this village. A person who have served as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wife of the founder of the largest domestic corporation are also from here. I think they are blessed as descendants of those who have done righteous things.


 이곳은 풍수지리적으로 아주 훌륭한 명당이라고 한다. 아래 사진들을 보시면 알겠지만 필자도 전에 본 적이 없을 만큼 고래등 같은 기와집들이 들어서 있으며 이 마을에서 배출한 훌륭한 인물도 많다. 국회의장을 지낸 분도 있고 국내 모 대기업 창업주 부인도 이곳 출신이라고 한다. 의로운 일을 하신 분의 후손들이라 복을 많이 받고 사는 것이 아닌가 싶다.



 There are not many old hanoks in the village, and most of them are seen to have been largely repaired recently. However, there are some houses that have some of the old features as shown below. It is a building called ‘Chung-Hyo-Dang’ built as a villa in the late Joseon Dynasty.


 마을 내부에 오래된 한옥은 많지 않으며 대부분 최근에 크게 수리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아래와 같이 옛 모습을 어느 정도 간직한 집들도 있다. 충효당으로서 조선후기에 별장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The below house is a mansion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and seems to have been recently repaired, but it was the most beautiful and magnificent appearance of the hanok I have seen recently. It is a building that can be seen in a folk village.


 아래는 마을 입구의 저택으로서 최근에 수리한 듯 하나 근래 필자가 본 한옥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웅장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민속촌에서나 볼 법한 건물이다.






 Some of the houses are empty, but the majority are still the houses where the inhabitants actually live.


 몇몇 집들은 비어 있으나 대다수는 현재도 주민이 실제로 살고 있는 집들이었다.



 The following is a house called 'Dogokjae'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as a residence and changed as a study room and it is said to have been called the Dogokjae after that time.


 아래는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도곡재' 라는 고택이다. 18세기에 살림집으로 세운 건물이나 이후 공부방으로 사용되면서 도곡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The many years are felt in the appearance of the roof.


 지붕의 모습에서 오래된 세월이 느껴진다.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Yangban(nobleman) hous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here there is a residence in the inner part and a guesthouse in the outer part.


 안쪽에는 살림집이 있고 바깥쪽에는 사랑채가 위치하는 마당이 넓은 남부지방 양반가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Unlike typical tiled houses, the floor was made wide by lengthening the eaves. The southern provinces seem to have used this space extensively because there is a lot of sunshine and a lot of time to live outside because it is not so cold.


 일반적인 형태의 기와집과는 다르게 처마를 길게 하여 마루를 넓게 만들었다. 남쪽지방은 햇빛이 많이 내리 쬐고 많이 춥지 않아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이 공간을 넓게 사용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The entrance of the Yuksinsa as a shrine for the Sayuksin. Originally, Harbin Sa shrine of Nakbinseowon Confucian Academy near here honored Sayuksin, however, it was demolished by abolish order of Heungseon Daewongun o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was rebuilt here as part of ‘Restoration business of remains for filial piety great man’ in the 1970s. There is a cultural tourism commentator next to the shrine and gives a friendly explanation. If you want to hear comments from a commentator who can speak a foreign language, you must make a reservation for a group of foreigners. The phone number is 053-668-3162.


 육신사의 입구. 사육신을 모시는 사당으로서 원래는 인근의 낙빈서원의 하빈사라는 사당에서 사육신을 모셨는데 19세기 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사당이 없어졌다가 1970년대 '충효위인 유적화사업'의 일환으로 이곳에 건립되었다. 육신사 옆에는 문화관광해설사가 있어서 친절한 설명을 해 주신다. 외국어가 가능한 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싶으시면 외국인 단체예약을 해야 한다고 한다. 전화번호는 053-668-3162 이다.




 There is a red gate with spiked top in the inside of the main gate.


 출입문 안쪽에 홍살문이 세워져 있다.



 The Yuksinsa is typical appearance of the shrine built in the 1970s, and its historical value is not so great from the building itself standpoint, but it is worthy of being a shrine where the great figures are worshiped.


 육신사는 1970년대에 세워진 사당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건물 자체로 볼 때는 역사적 가치가 크지 않지만 훌륭한 인물들을 모신 사당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n fact, if you want to see a building that has cultural value, it can be said that the Taegojeong Pavilion next to the Yuksinsa is much more important. It is designated as Korean Treasure no. 554. It is a building built as an annex of tile-roofed house which have 99 rooms built by Park Ilsan, the grandson of Park Paeng-nyeon, who was able to survive after suffering many crise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symmetrical shape of the roof. If you have a chance to see it, check out the roofs on both sides of the building.


 사실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건물로 본다면 육신사 옆에 있는 태고정이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보물 554호로 지정되어 있다. 천신만고 끝에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던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이 지은 99칸 기와집의 별채로 지어진 건물로서 지붕의 형태가 비대칭적으로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직접 가 보시게 된다면 건물 양쪽의 지붕 모습을 확인해 보시기 바란다.



 There is a thing that makes this building more prominent, it is the plaque of the building. There are two pieces of writing, both of them are written by the two greatest master calligraphers in the Joseon Dynasty.

 The following is an tablet written by 'Ilshiru', written by Prince Anpyong who was the greatest master calligrapher of early Joseon Dynasty.


 이 건물을 더 돋보이게 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건물의 편액이다. 2개의 편액이 있는데 모두 조선시대의 최고 명필 2분이 쓴 글씨이다.

아래는 '일시루'라 쓰인 편액으로 조선 전기의 최고 명필인 안평대군의 글씨이다. 




 This plaque is made by the famous Han Seok-bong, and it is written as 'Tae go Jeong', the name of the building.


 이 글씨는 그 유명한 한석봉의 글씨로 건물의 이름인 '태고정'이라고 쓰여 있다.



 The fact that you can see these two letters in one place is well worth visiting here. Although seemingly small in scale, it is a great building that shows the style of the early Joseon architecture well and has a high historical value due to its elaborate structure and detail.


 이 두 분의 글씨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방문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본다. 겉으로 보기에는 규모도 작고 대단치 않은 듯 하나 조선 전기 건축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짜임새나 세부기공이 정교하여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귀중한 건물이다.



 There are many other writings by famous persons inside the building. The Taegeukgi(Korean flag)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is also impressive.


 건물 내부에는 이 밖에도 여러 유명인사들의 글이 남겨져 있다. 건물 중앙의 태극기도 인상 깊다.






 On one side of the Yuksinsa, there are 3 monuments lie side by side. They were written by Park Joon gyu, who was born here and has served as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for three times,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and Choi Kyu-hah.


 육신사의 한쪽 편에는 이 마을 출신으로 국희의장을 3번이나 지낸 박준규 전 의원과 박정희, 최규하 전 대통령의 표석이 나란히 놓여 있다.





 View of the village from the entrance of the Yuksinsa. As I said before, outside the village cannot be seen from here. The mountain seems to be wrapping the village warmly.


 육신사의 출입문에서 마을을 내려다 본 모습. 앞에서 이야기 한 대로 마을 밖이 보이지 않는다. 산자락이 마을을 포근하게 감싸고 있는 듯 하다. 






 I decided to turn the village around after coming out of the Yuksinsa. The houses in the village are not only big in size, but they have their own unique design, so it would be interesting to see each house around the town.


 육신사에서 나와 마을을 한 바퀴 돌기로 했다. 마을 내의 한옥들이 크기만 큰 것이 아니라 각각 특색 있는 모양이라 마을을 돌면서 집들의 지어진 모습을 구경하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It is hard to see the hanok which have the stairs in front of the gate. I also saw it here firstly.


 대문 앞에 계단이 만들어진 한옥은 좀처럼 보기 힘들다. 필자도 이곳에서 처음 보았다.





 The house shown below is the birthplace of Mrs. Park Doo-eul, the wife of former chairman Lee Byeong-cheol, the founder of Samsung Group. She was born here and support her husband silently to become owner of the largest company in Korea. She died at the age of 93 in January 2000. She was so sympathetic during her lifetime as a descendant of Park Paeng-nyeon, so helped people when she looked at poor people.


 It i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Daegu and difficult to visit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raffic. However, I would like you to appreciate the feelings of the old Yangban(Noble) village in Korea and the area called "Myongdang(Good place)" in the Myogol village which descendant of Sayuksin established and keep the shape until now.


아래 보이는 집이 삼성그룹 창업주 고 이병철 전 회장의 부인 박두을 여사의 생가이다.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남편이 한국 최대 재벌그룹 총수가 될 수 있도록 묵묵히 뒤를 지켰던 분이다. 2000년 1월 9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박팽년의 후손답게 생전에 동정심이 많아 불쌍한 사람들을 보면 사람을 시켜 도움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대구 외곽에 있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방문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사육신의 후손이 일으키고 지금까지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묘골마을에서 한국의 옛 양반 마을의 정취와 소위 명당이라고 불리는 지역이 어떤 느낌을 가지고 있는지 감상해 보셨으면 한다.






Comments